The Korean Addiction Research Foundation
우리는 일어서든지, 넘어지든지 함께 한다
채○○
공동체 생활을 통해 개인의 야망과 상호 생존의 균형을 성찰하며,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배우고 단합하여 다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마음입니다.
김○○
알코올 중독자로서 '함께' 하는 삶을 통해 단주라는 공동 목표를 이루고, 감집 생활을 사회 복귀를 위한 전초 기지로 삼아 성공적으로 단주 생활을 이어나가기를 바랍니다.
김○○
개인의 야망이나 욕심이 공동체의 성과와 갈등할 때, 겸손을 통해 공동체의 화합을 이룰 수 있습니다, 오늘 하루 겸손과 화합에 대해 묵상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전○○
알코올 중독자로서 자신의 상태와 주변 환경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지난한 과정을 겪었으며, 이를 통해 중독자임을 잊지 않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회복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이○○
감집 공동체 생활을 통해 "혼자서는 할 수 없다"는 깊은 깨달음을 얻었으며, 겸손을 토대로 서로 돕고 도움을 주고받는 나눔의 테두리 안에서 협력적인 관계를 만들어가야 합니다.
표○○
우리가 공동체 안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실천하고 있는지 되짚어보며, 이러한 규율이 집과 같은 작은 공동체에서도 이어질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됩니다. 공동체 안에서는 개인 규칙이 없기에 모든 행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이러한 실천을 숨기지 않고 행동으로 옮길 때 비로소 아름다운 화합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임○○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우리 공동체 여러분들과 같이 협업을 계속 준비해 나가겠습니다.
노○○
내가 해야 되는데 결국은 나 혼자서는 할 수 없다
정○○
항상 겸손한 마음으로 살겠습니다.
허○○
우리는 "혼자서는 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공동체 생활을 하는데, 함께 일어서고 함께 쓰러진다는 의미를 생각할 때 단합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봉사와 겸손이 좋지만, 그 경계가 모호해지면 서로 마찰이 생길 수 있고, 남의 몫까지 다 하는 것보다는 각자가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개인의 성취보다는 공동의 목표와 성취를 위해 서로 뜻을 맞춰 각자의 역할을 다할 때 공동체가 안전하게 유지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
책의 구절처럼 알코올 중독자들에게 '함께' 하는 것이 생존에 필수적이며, 공동체 안에서 규칙을 지키고 계획대로 행동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닫습니다. 때로는 규칙을 등한시하고 싶은 마음도 들지만, 이는 나태함을 부르고 전체의 질서를 해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따라서 다른 회원분들처럼 꾸준히 발맞춰 공동체의 길을 따라가야겠다고 다짐합니다.
김○○
저는 첫 단계가 참 좋다고 생각해 가지고 나의 알코올 중독을 시인하고 받아들이는 게 회복의 시작이고 제일인 것 같습니다.
김○
12 전통'에도 '12 단계'처럼 구체적인 의도가 있다고 한 것을 보며, 평소에는 '12 단계'에만 집중했었지만 이제 '12 전통'이 무엇인지 더 깊이 생각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매일의 명상 - 알코올 중독 재활 회복
다음글 | 2025년 3월24일<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